-
[스크랩] 필터의 종류와 사용방법카메라 배우기 2015. 10. 31. 23:53
// 1. UV필터
UV(Ultre Violet)필터는 무색의 투명한 유리로 되어 있는 필터로 원래 태양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필터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보다는 무색 투명하다는 필터의 특성으로 인하여 렌즈를 보호하는 보호용 필터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UV필터를 장착하면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풍경을 좀 더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아지랑이나 안개 등의 영향에서도 보다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UV필터 중에는 MC UV라고 표시된 필터를 찾아볼 수 있는데 이 필터는 멀티 코팅된 UV필터란 의미로 기존 UV필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필터 표면이 멀티 코팅 처리되어 난반사를 방지하고 빛의 투과율을 높여 더욱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2. 스카이라이트 필터
스카이라이트(Skylight)필터는 위에서 설명한 UV필터와 함께 렌즈 보호용 필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필터이지만 이 필터는 아주 엷은 분홍색 혹은 갈색을 띄고 있는 필터로서 색상이 엷게 들어가 있지만 카메라의 노출과 색감에는 영향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스카이라이트 필터는 자외선을 흡수함과 동시에 맑게 개인 날 그늘에서 사진을 촬영하였을 경우 파란 하늘의 영향으로 사진 전체에 푸른 색조가 도는 것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는 필터가 되겠습니다.
3. PL필터
PL(Polarizing)필터는 흔히 편광 필터라 불리고 있는데 그 이유는 빛의 파동 중 한쪽 방향만 통과시키고 다른 한쪽 방향을 반사해서 통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리창 또는 수면 등에 나타나는 반사를 줄여주어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PL필터는 빛의 반사를 줄여주는 작용과 함께 컬러 사진을 촬영할 때 색채의 콘트라스트를 강조하여 더욱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이러한 PL필터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 반사를 줄여주는 편광 작용
나. 푸른 하늘을 더욱 푸르게 촬여한다.
다. ND필터의 역할을 한다.
PL필터 사용전 PL필터 사용후
*PL필터와 CPL필터의 차이점
편광필터가 PL과 CPL로 나뉘게 된 시기는 SLR 카메라에 AF 기술이 개발되면서부터입니다. SLR 카메라는셔터 앞에 거울을 배치해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뷰 파인더로 반사시키는 광경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 거울은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100% 반사시키지 않고, 일부를 카메라에 내장된 AF센서로 보냅니다.
즉, 카메라는 이미 내부에서 반사를 통해 편광된 빛으로 초점을 잡는 구조인 것입니다. 이러한 상태에 서 PL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빛이 PL필터와 카메라 내부에서 이중 편광되므로 정확한 포커싱은 물론 전반적인 노출 설정에 있어 오작동을 유발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CPL, 원형 필터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1/4 파장 소재(사용파장의 1/4두께의 투명판)를 추가해 최초 편광된 빛을 다시 산란시켜 카메라 내부로 입사시킵니다. 편광된 빛 파장에 한해 다시 산란과정을 거쳐 AF와 노출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반사거울에서 한번 더 편광 절차를 거침으로써 처음에 의도했던 편광효과를 다시 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 CPL필터의 원리인 것입니다.
보통 재산란-재편광 과정을 거치는 CPL필터는 PL필터의 편광 과정보다 더 복잡하기 때문에 PL 필터보다 편광효과는 약한 편입니다. 또한, 추가 파장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 역시 PL필터보다 다소 비쌉니다.결론적으로 말씀드린다면 의도한 편광효과와 함께 언제나 오차없는 정밀한 AF와 노출설정을 원한다면 이론적으로 CPL을 써야하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편광부를 돌려가며 편광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PL필터의 사용법으로 볼 때 오동작 현상 역시 꼭 매번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 SLR이 아닌 일반 디지탈 카메라에서는 내부에 별도 편광절차가 없으므로, 일반 PL필터를 사용해도 오류 현상이 없습니다.
따라서 편광필터 사용 빈도가 높은 SLR 카메라 파워유저라면 반드시 CPL 필터를 구비해야 하며, 사용횟수가 적거나 편광효과를 직접 접해보고자 하는 일반 유저층이라면 일반 PL 필터로도 편광 성능을 충분히 체감할 수 있습니다.4. ND필터
ND(Neutral Density)필터는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필터를 말합니다. 스키장 혹은 한낮의 맑게 개인 하늘 아래에서 사진을 촬영하면 디지털 카메라가 소화할 수 있는 노출 값을 넘게 되어 과다한 노출의 사진이 촬영되기 쉬운데 이때 ND필터를 사용하면 ND필터에서 렌즈에 들어가는 빛을 어느정도 차단하므로 정상 노출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됩니다.
실예로 한낮에 야간촬영때 처럼 자동차의 불빛(브레이크등)을 쭉늘어지게 촬영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이럴 때 ND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야간촬영때 처럼 자동차의 불빛에 의한 늘어지는 효과를 찍을 수 있게 됩니다.
ND필터는 ND2, ND4, ND8등 뒤의 숫자가 붙게 되는데 숫자가 커질수록 필터 자체의 색상이 진해지고 빛을 차단하는 정도가 높아집니다. 즉 ND2필터는 -1EV정도의 노출 감소효과가 있고 ND4필터는 -2EV 그리고 ND8필터는 -3EV정도의 노출 감소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5. 소프트 필터
소프트 필터는 인물이나 풍경을 보다 부드럽게 표현하는 촬영하는 것으로 아주 쉽게 뽀샤시 효과라 이해하면 될 겁니다. 특히 이런 효과들로 인해 여성의 인물 촬영에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6. 크로스 필터
Cross필터는 무색의 유리 재질로 되어 있는 필터 표면에 격자 모양의 흠집을 내어줌으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이 여러 갈래의 빛줄기로 나타나게 끔하는 효과를 주는 필터입니다.
이런 크로스 필터는 광원을 촬영할 때에 빛줄기가 갈라지는 개수에 따라서 비추줄기가 4개로 갈라지는 Cross Screen 필터, 6개로 갈라지는 Snow Cross 필터, 8 Sunny Cross 필터와 빛줄기가 갈라지는 각도를 자유자재로 설정 가능한 Vari Cross 필터로 구분됩니다.
// 출처 : 인천산사야 트레킹클럽(산과 사진...야생화 도보여행)글쓴이 : 왕대 원글보기메모 : 배우자'카메라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디카 구매전 알아야할 상식 2 (0) 2015.10.31 [스크랩] 스마트폰으로 파노라마 촬영법 (0) 2015.10.31 [스크랩] 초보자를 위한 콘트라스트 마스킹 기법(초보만 클릭) (0) 2015.10.31 [스크랩] 사진 노출의 이해!! (0) 2015.10.31 [스크랩] 사진 노출의 이해 2 (0) 2015.10.31